카테고리 없음

백엔드 과정) 면접을 하게 되면 어떤 질문들이 나올까??

본성 2024. 8. 29. 10:44
반응형
  1. i)RESTful한 API를 설계하는 장점은?
  2.  
  3. RESTful API는 두 컴퓨터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안전하게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이렇게 설계함으로 저희는 세가지의 장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세가지는 바로 확장성, 유연성, 독립성이라는 장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4.  
  5. 첫번째 확장성으로 REST API를 구현하는 시스템은 REST가 클라이언트-서버 상호 작용을 최적화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크기 조정할 수 있습니다. 무상태는 서버가 과거 클라이언트 요청 정보를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버 로드를 제거합니다. 잘 관리된 캐싱은 일부 클라이언트-서버 상호 작용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거합니다. 이러한 모든 기능은 성능을 저하시키는 통신 병목 현상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확장성을 지원합니다.
  6.  
  7. 두번째 유연성으로 RESTful 웹 서비스는 완전한 클라이언트-서버 분리를 지원합니다. 각 부분이 독립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버 구성 요소를 단순화하고 분리합니다.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플랫폼 또는 기술 변경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애플리케이션 함수를 계층화하는 기능은 유연성을 더욱 향상시킵니다. 예를 들어,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다시 작성하지 않고도 데이터베이스 계층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8.  
  9. 세번째 독립성으로 REST API는 사용되는 기술과 독립적입니다. API 설계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클라이언트 및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작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통신에 영향을 주지 않고 양쪽의 기본 기술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i)적절한 관심사 분리의 필요한 이유는?
  2.  
  3. 적절한 관심사 분리는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오류를 줄이며, 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명확하게 하고, 개발 및 유지보수 과정을 효율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1. i)Setter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무엇인가요?
  2.  
  3.  개발은 특히 혼자서하는 일이 아니기때문입니다. 왜냐하면 무분별하게 setter를 사용하면 메소드의 의도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일관성을 유지하기가 어렵습니다.

 

  1. i)NoSQL과 RDBMS에 대해 아는대로 설명해주세요.

DBMS 앞에 R ( Relational ) 이 추가되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RDBMS는 RDB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며 RDB는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기초로 두고 모든 데이터를 2차원 테이블 형태로 표현하는 데이터베이스로

즉,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수정, 삭제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라고 정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MBS)에서는 이러한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외래 키(foreign key)라는 것을 사용

이러한 테이블간의 관계에서 외래 키를 이용한 테이블 간 Join이 가능하다는 게 RDBMS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RDBMS의 장단점
  • 장점
    1. 정해진 스키마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여야 하므로 명확한 데이터 구조를 보장한다.
    2. 또한 관계는 각 데이터를 중복없이 한 번만 저장할 수 있다.
  • 단점
    1. 테이블간테이블 간 관계를 맺고 있어 시스템이 커질 경우 JOIN문이 많은 복잡한 쿼리가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2.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서버의 성능을 향상 시켜야하는 Scale-up만을 지원합니다. 이로 인해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습니다.
    3. 스키마로 인해 데이터가 유연하지 못합니다. 나중에 스키마가 변경 될 경우 번거롭고 어렵습니다.

==================================================================

NoSQL에서는 RDBMS와는 달리 테이블 간 관계를 정의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테이블은 그냥 하나의 테이블이며 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하지 않아 일반적으로 테이블 간 Join도 불가능합니다.

 

NoSQL은 점점 빅데이터의 등장으로 인해 데이터와 트래픽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RDBMS에 단점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장비가 좋아야 하는 Scale-Up의 특징이 비용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기 때문에,

데이터 일관성은 포기하되 비용을 고려하여 여러 대의 데이터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Scale-Out을 목표로 등장하였습니다.

 

NoSQL로 보통 Document 기반의 MongoDB를 많이 알지만, MongoDB는 NoSQL한 종류로 NoSQL은 다양한 형태 ( 4가지 )의 저장 기술을 지원합니다.

이 다양한 형태의 저장기술은 RDBMS 스키마에 맞추어 데이터를 관리해야 된다는 한계를 극복하고 수평적 확장성(Scale-out)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NoSQL의 장단점
  • 장점
    1. NoSQL에서는 스키마가 없기 때문에 유연하며 자유로운 데이터 구조를 가질 수 있습니다. 언제든 저장된 데이터를 조정하고 새로운 필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분산이 용이하며 성능 향상을 위한 Saclue-up 뿐만이 아닌 Scale-out 또한 가능합니다.
  • 단점
    1. 데이터 중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중복된 데이터가 변경 될 경우 수정을 모든 컬렉션에서 수정해야합니다.
    2. 스키마가 존재하지 않기에 명확한 데이터 구조를 보장하지 않으며 데이터 구조 결정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3. 데이터가 여러 컬렉션에 중복되어 있어서 데이터를 UPDATE 하는 경우 모든 컬렉션에서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느리다.
    4. key키값에 대한 입, 출력만 지원한다.

===============================================================

 

 

 

  1. i)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요?
  2.  
  3.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중 하나로, 프로그래밍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상화시켜 상태와 행위를 가진 객체를 만들고 그 객체들 간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로직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밍 방법이다.

- 장점

코드 재사용이 용이

남이 만든 클래스를 가져와서 이용할 수 있고 상속을 통해 확장해서 사용할 수 있다.

유지보수가 쉬움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코드를 수정해야할 때 일일이 찾아 수정해야하는 반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수정해야 할 부분이 클래스 내부에 멤버 변수혹은 메서드로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부분만 수정하면 된다. 

대형 프로젝트에 적합

클래스 단위로 모듈화시켜서 개발할 수 있으므로 대형 프로젝트처럼 여러 명, 여러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개발할 때 업무 분담하기 쉽다.

- 단점

처리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림

객체가 많으면 용량이 커질 수 있음

설계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키워드 5가지

1) 클래스 + 인스턴스(객체)

2) 추상화

3) 캡슐화

4) 상속

5) 다형성


클래스와 인스턴스(객체)는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클래스 :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를 만들기 위해 추상화를 거쳐 집단에 속하는 속성(attribute)과 행위(behavior)를 변수메서드로 정의한 것으로 객체를 만들기 위한 메타정보라고 볼 수 있다.

인스턴스(객체) : 클래스에서 정의한 것을 토대로 실제 메모리에 할당된 것으로 실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추상화 (자료의 추상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추상화' 라는 단어를 여러 군데 붙일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추상화는 추상 클래스나 추상 클래스가 갖는 추상 메서드를 의미하기보다는 클래스를 설계하는 것 자체를 의미한다.

즉, "공통의" 속성이나 기능을 묶어 이름을 붙이는 것이다.


캡슐화가 무엇인가요?

캡슐화의 목적 2가지

1. 코드를 재수정 없이 재활용하는 것.

2. 접근 제어자를 통한 정보 은닉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도 라이브러리를 통해서 변수와 함수를 재활용할 수는 있었지만, 코드의 수정이 일어났을 때 영향 범위를 예상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캡슐화를 통해 객체가 외부에 노출하지 않아야할 정보 또는 기능을 접근제어자를 통해 적절히 제어 권한이 있는 객체에서만 접근하도록 할 수 있기에 코드의 수정이 일어났을 때 책임이 있는 객체만 수정하면 되기에 영향 범위를 예측하는데 수월해졌다.

뿐만 아니라 관련된 기능과 특성을 한 곳에 모으고 분류하기 때문에 객체 재활용이 원활해졌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기능과 특성의 모음을 "클래스"라는 "캡슐"에 분류해서 넣는것이 캡슐화다.

객체가 맡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목적을 한데 묶는다.


상속은 무엇인가요?

절자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도 "라이브러리"를 통해서 남이 짜놓은 소스 코드를 가져와 사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내 의도에 맞게 수정하게되면 다른 라이브러리가 되어 버전에 따라 동작하지 않을 수 있고 불필요한 코드의 수정작업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속]이라는 것을 도입하였다.

상속부모클래스의 속성과 기능을 그대로 이어받아 사용할 수 있게하고 기능의 일부분을 변경해야 할 경우 상속받은 자식클래스에서 해당 기능만 다시 수정(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다중상속은 불가하다. (클래스의 상속 관계에서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상속은 반드시 하나만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자세한 내용은 이전 포스트에 있음.)


다형성은 무엇인가요?

하나의 변수명, 함수명 등이 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오버라이딩(Overriding), 오버로딩(Overloading)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오버라이딩 : 부모클래스의 메서드와 같은 이름, 매개변수를 재정의 하는것.

오버로딩 : 같은 이름의 함수를 여러개 정의하고, 매개변수의 타입과 개수를 다르게 하여 매개변수에 따라 다르게 호출할 수 있게 하는 것.

 

 

 

https://velog.io/@coco_116/%EA%B0%9D%EC%B2%B4%EC%A7%80%ED%96%A5-%ED%94%84%EB%A1%9C%EA%B7%B8%EB%9E%98%EB%B0%8D%EC%9D%B4%EB%9E%80-%EB%AC%B4%EC%97%87%EC%9D%B4%EA%B3%A0-%EC%96%B4%EB%96%BB%EA%B2%8C-%ED%99%9C%EC%9A%A9%ED%95%A0-%EC%88%98-%EC%9E%88%EB%82%98%EC%9A%94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

velog.io

https://hstory0208.tistory.com/entry/RDBMS%EC%99%80-NoSQL%EC%9D%98-%EC%B0%A8%EC%9D%B4%EC%A0%90-%EB%B0%8F-%EA%B0%9C%EB%85%90-%EC%99%84%EB%B2%BD-%EC%A0%95%EB%A6%AC

 

RDBMS와 NoSQL의 차이점 및 개념 완벽 정리

RDBMS와 NoSQL의 차이점 CS 면접 단골 질문이라고 하더라구요 ? 간단한 차이점에 대해 아는 사람은 많겠지만 깊이 있게 아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그렇기 때문에 이번 포

hstory0208.tistory.com

https://aws.amazon.com/ko/what-is/restful-api/

 

RESTful API란 무엇인가요? - RESTful API 설명 - AWS

Amazon API Gateway는 어떤 규모에서든 개발자가 API를 손쉽게 생성, 게시, 유지 관리, 모니터링 및 보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완전관리형 서비스입니다. API Gateway를 사용하면 실시간 양방향 통신 애

aws.amazon.com

https://f-lab.kr/insight/understanding-frontend-architecture

 

프론트엔드 아키텍처의 이해: 관심사의 분리

프론트엔드 아키텍처에서의 관심사의 분리 원칙, 구현 방법 및 실제 적용 사례에 대해 설명합니다.

f-lab.kr

 

반응형